전문가 좌담(요약편)
자율주행차와 미래 사회
「e경제정보리뷰」 2024-1호 좌담은 ‘자율주행차와 미래 사회’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장(좌장)을 비롯해 남백 LG유플러스 모빌리티사업담당 전문위원, 박준환 국회입법조사처 국토해양팀장, 양인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위원, 정치연 전자신문 전자모빌리티부 차장이 참여했다.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구분선 #1. 개념 및 등장배경
- □ 자율주행 기술은 SAE International(국제자동차공학회) 분류 기준에 따라 운전 자동화 단계를 레벨 0에서 레벨 5까지 총 6단계로 구분
<표> 운전 자동화의 단계적 구분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21) ※ SAE 구분에 따른 분류
□ 자율주행자는 인적 요인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의 최소화, 여객·물류 운행 비용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의 절감, 교통 약자에 대한 이동권 보장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의해 등장
#2. 자율주행차의 현주소: 기술·인프라
□ 현재 우리나라는 레벨 4 수준의 로보택시가 운행되고 있는 미국에 비해 규제 측면에서 조금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나 현실적인 여건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맞는 규제의 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보다 중요
□ 자율주행 상태에서 운행 시 사고가 났을 때 제조사가 책임을 어디까지 져야 할지에 대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고민이 남아있는 상태로, 이 문제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나 보편적인 운행을 판가름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
· 운전하는 시스템과 운전하는 사람의 구분에 따라 책임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책임 주체에 대한 부분부터 짚어볼 필요
· 현재 국내의 자동차관리법과 자동차손해배상법, 도로교통법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규율 대상(자동차와 운전자)이 달라 자율주행차 시대에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므로 관련 법안의 정비가 시급
□ 우리나라를 비롯, 자기 인증 제도에 기반해 자동차를 판매하는 국가들은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차가 등장하면서 유럽과 같이 형식 승인 제도를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상태
#3. 자율주행차가 불러볼 사회·경제적 변화
□ 자율주행이 도입됨으로써 MaaS(Mobility as a Service) 플랫폼의 변화가 예상
· MaaS 플랫폼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단순히 차량 공유를 넘어서 대중교통 시장까지 진출 예상
□ 목적형 자율주행자동차, 특수 목적의 모빌리티 분야 등에서 상용화 기대
· 자율주행차를 물류, 이동형 사무실, 장애인 콜택시, 응급차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 가능
□ 기술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가 실현 가능해짐에 따라 상업적인 용도나 서비스의 변화 방향과 지금의 제도가 잘 맞는지 고민할 필요
· 예를 들어 자율주행 로보택시는 렌터카와 유사하나 현행법에서 택시와 렌터카는 완전히 다른 시장이므로 제도적으로 규제·규율하는 내용도 상이
#4. 사회적 수용성 증진 방안
□ 자율주행자동차의 확산은 일자리 문제와 같은 사회적 갈등의 우려가 있는 만큼 단계적인 논의를 통해 대안을 만들어야하고 새로운 서비스 도입 시 신중한 고민이 필요
□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범운행을 통해 나온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고 발생 시 적합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함.
□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것이고, 사람들이 원하는 바를 정책으로 제도화하는 식의 순환이 곧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5. 제언
□ 우리나라의 자율차 시장은 새로운 제품의 기술 수준에 대해 소비자의 기대가 매우 높으므로 이를 충족하기 위한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노력이 필요
□ 도로·교통 인프라의 관점이 차량에서 주행거리 중심으로 바뀌어 교통 시설에 대한 평가 시 새로운 조사 대상과 단위의 도입이 필연적임.
· 자율주행차는 주행과정 중 차량 내부에서 경제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주행거리당 어떤 서비스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느냐로 효용을 따지게 될 것이므로 신기술의 자동차와 도로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
□ 인프라 가이던스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차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할 필요
* 이 내용은 전문가 좌담 내용을 재구성한 것으로 KDI의 공식 견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