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기업의 19.2%가 클라우드를 ‘도입하여 운영 중’(12.2%)이거나 향후 ‘도입할 예정’(7.0%)이었음.
□ 클라우드 도입 기업의 80% 이상이 기대한 효과를 얻었으며, 향후 활용 비중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응답
• 클라우드 도입 기업의 83.6%가 기대한 효과를 얻었다고 평가
- 클라우드 도입으로 기대한 효과로는 ‘백업, 이중화 등으로 인한 안정성 확보’(38.5%), ‘IT 자원의 탄력적 운용 및 활용’(31.1%)에 응답이 많았음.
- 한편 기대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는 기업의 65.0%도 향후 기대한 효과를 얻을 것으로 보았으며, ‘1~2년 이내’(69.2%)에 효과를 얻을 것이라 예상
• 도입한 기업은 전체 IT 시스템 중 클라우드를 평균 47.2% 활용하고 있었으며, 향후 3년 이내에 61.0%로 확대할 예정
※ 참고: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 및 실태조사(2020년 11월, KDI 경제정보센터)
· AI 기술 도입률: 3.6%
· 향후 AI 기술 및 솔루션 도입 의사
- 현재 AI 기술 도입한 회사: 있다(38.9%), 없다(61.1%)
- 현재 AI 기술 도입하지 않은 회사: 있다(11.0%), 없다(89.0%)
□ 클라우드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양성, 법·제도 개선, 원천·응용 기술 확보 등이 필요
• 클라우드 경쟁력 수준을 10점 만점(ⓞ매우 낮다 ← ⑤ 보통 → ⑩ 매우 높다)으로 점수화해 평균값을 구한 결과, 세계 최고 수준 대비 우리나라 경쟁력 수준은 7.73점
• 분야별 경쟁력 수준을 살펴보면 전문 인력(6.99점), 법·제도(6.37점) 부문의 경쟁력이 기술(7.37점), 인프라(7.17점)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 우리나라 클라우드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중심 인재 등 전문 인력 양성’(26.1%)과 ‘클라우드 원천·응용 기술 확보 및 개발’(24.8%)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
-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실무형 커리큘럼 개발·보급’(24.1%), ‘클라우드 인력 양성 기관 확충’(22.5%)을 제시
□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안 핵심 기술 개발 지원 등 보안에 대한 우려 불식이 중요
• 클라우드 도입 시 장애요인으로 기업의 과반이 ‘데이터 유출 등 보안 문제’(52.5%)를 꼽았으며, 클라우드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안에 대한 우려’(31.9%)에 대한 응답이 많았음.
• 보안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과반이 ‘데이터 기밀 유출 방지 등 보안 핵심기술 개발 지원’(53.5%)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다음으로 ‘중소·영세 기업의 보안기술 지원’(23.2%)을 강조
□ 데이터가 새로운 가치 창출의 근원이 되는 시대에 클라우드는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
• 기업들은 클라우드가 ‘빅데이터’(70.6%)와 결합할 때 가장 큰 시너지를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
• 또한 클라우드 활성화로 인해 ‘디지털 혁신 가속화’(28.8%)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비대면 산업 활성화’(20.0%), ‘주력 산업과 융합을 통한 고도화’(17.1%), ‘생산성·경제성 향상’(16.2%) 등의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예측
□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분야별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보급 지원 등 다각적인 방면에서의 방안 모색이 필요
•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대해 순위응답으로 조사하여 가중치(1순위: 3점, 2순위: 2점, 3순위: 1점)를 부여한 결과, ‘분야별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보급 지원’(20.4%), ‘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 강화’(17.5%)와 함께 ‘신뢰성 및 안정성 제고를 위한 보안체계 구축’(16.5%)이 필요하다고 강조
• 또한 클라우드 이용 기업을 위한 정책으로는 ‘데이터 변환 등 기존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지원’(29.2%), ‘바우처 데이터 제공 등 클라우드 이용 요금 지원’(24.8%), ‘맞춤형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제공’(24.0%) 등에 응답이 많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