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국민의 80% 이상, 디지털 헬스케어가 개인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
• 일반 국민의 81.9%가 디지털 헬스케어가 개인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응답했으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음.
- 디지털 헬스케어로 가장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는 응답자(N=819)의 과반이 ‘만성질환자’(66.7%)를 꼽음.
•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모바일 헬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 이용 만족도 또한 높았음.
- ‘모바일 헬스’의 이용 경험(모바일 앱: 61.3%, 웨어러블 기기: 42.8%)은 ‘DTC 유전자 검사’(4.9%)와 ‘AI 헬스케어’(3.4%)보다 많았음.
- 디지털 헬스케어의 모든 분야에서 이용자의 과반이 ‘만족한다’*고 응답 * 모바일 앱: 66.7%, 웨어러블 기기: 70.1%, DTC 유전자 검사: 51.0%, AI 헬스케어: 70.6%
| 디지털 헬스케어의 각 분야에 대해 일반 국민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명
• 원격의료는 ‘의료 접근성 향상’을 가져오지만, ‘의료사고 시 책임 소재 불분명’, ‘부정확한 진단·진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평가 • DTC(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유전적 질환에 대한 사전 예측’을 가능하게 하나, ‘과도하게 상업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우려
• AI(인공지능) 헬스케어에 대해서는 ‘진료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키지만, ‘환자와 정서적 교감의 어려움’이 있다고 강조
| 일반 국민은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해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데이터 제공 의향도 높았음.
• 일반 국민의 71.5%가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해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평가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 정보 남용·유출 등 부작용 해결’(53.6%)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제언
•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의 소유권은 ‘개인’(77.0%)에게 있다는 생각이 강했으며, 데이터 제공 의향도 높게 나타났음.
-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는 ‘정밀한 진단 및 진료’(87.0%), ‘개인별 맞춤 서비스 이용’(83.7%), ‘학술·연구 목적’(75.1%)을 위해 제공하겠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민간 헬스케어 기업의 의료 상품·서비스 개발’(45.3%)의 목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음.
|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요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측
• 일반 국민의 86.8%가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요가 ‘현재보다 증가할 것이다’라고 응답
• 디지털 헬스케어의 장점으로 ‘고령자·만성질환자 주기적인 관리’(32.2%)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 가능’(28.2%), ‘시공간의 제약 없는 측정·진료 가능’(23.4%), ‘질병의 사전 예방’(16.2%) 순이었음.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 등 방안 모색이 필요
• 일반 국민의 과반이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 시 ‘오류 및 오작동 가능성’(50.6%)이 가장 우려된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개인 정보 유출 우려’(20.9%)를 꼽음.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39.5%)과 함께 ‘개인 정보 보안 강화’(24.4%), ‘기술적 불완전성 보완’(22.2%)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