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여론조사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 일반 국민의 80% 이상, 디지털 헬스케어가 개인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

일반 국민의 81.9%가 디지털 헬스케어가 개인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응답했으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음.

- 디지털 헬스케어로 가장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는 응답자(N=819)의 과반이 ‘만성질환자’(66.7%)를 꼽음.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모바일 헬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 이용 만족도 또한 높았음.

- ‘모바일 헬스’의 이용 경험(모바일 앱: 61.3%, 웨어러블 기기: 42.8%)은 ‘DTC 유전자 검사’(4.9%)와 ‘AI 헬스케어’(3.4%)보다 많았음.

- 디지털 헬스케어의 모든 분야에서 이용자의 과반이 ‘만족한다’*고 응답
     * 모바일 앱: 66.7%, 웨어러블 기기: 70.1%, DTC 유전자 검사: 51.0%, AI 헬스케어: 70.6%



| 디지털 헬스케어의 각 분야에 대해 일반 국민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명

원격의료는 ‘의료 접근성 향상’을 가져오지만, ‘의료사고 시 책임 소재 불분명’, ‘부정확한 진단·진료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평가
DTC(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 검사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유전적 질환에 대한 사전 예측’을 가능하게 하나, ‘과도하게 상업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우려

AI(인공지능) 헬스케어에 대해서는 ‘진료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키지만, ‘환자와 정서적 교감의 어려움’이 있다고 강조


| 일반 국민은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해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데이터 제공 의향도 높았음.

일반 국민의 71.5%가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해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평가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 정보 남용·유출 등 부작용 해결’(53.6%)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제언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의 소유권은 ‘개인’(77.0%)에게 있다는 생각이 강했으며, 데이터 제공 의향도 높게 나타났음.

- 개인 보건의료 데이터는 ‘정밀한 진단 및 진료’(87.0%), ‘개인별 맞춤 서비스 이용’(83.7%), ‘학술·연구 목적’(75.1%)을 위해 제공하겠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민간 헬스케어 기업의 의료 상품·서비스 개발’(45.3%)의 목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음.


|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요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측

일반 국민의 86.8%가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요가 ‘현재보다 증가할 것이다’라고 응답

디지털 헬스케어의 장점으로 ‘고령자·만성질환자 주기적인 관리’(32.2%)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 가능’(28.2%), ‘시공간의 제약 없는 측정·진료 가능’(23.4%), ‘질병의 사전 예방’(16.2%) 순이었음.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 등 방안 모색이 필요

일반 국민의 과반이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 시 ‘오류 및 오작동 가능성’(50.6%)이 가장 우려된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개인 정보 유출 우려’(20.9%)를 꼽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39.5%)과 함께 ‘개인 정보 보안 강화’(24.4%), ‘기술적 불완전성 보완’(22.2%)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