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핵심이슈 동영상
디지털 헬스케어 - 병원의 역할편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2021년 02호

#1.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의 충남대학교 병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의지를 갖고 있는 병원이다.

#2. 안녕하세요. 충남대학교병원장 윤환중입니다.

#3. 병원에 있는 의료진들은 실제로 현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아이디어의 원천이 될 수가 있고 실제 만들어진 의료 장비라든지 기계의 효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할 수 있는 있는 평가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헬스케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고요.

#4. 병원에 있는 의료진들은 기업, 대학교, 또는 연구기관에 계신 분들과 아이디어를 갖고 협업할 수 있고 또한 컨설팅을 하는 등의 역할 을 할 수 있습니다.

#5.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화가 잘 일어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6. 임계점 이상의 규모를 가지기 위해서는 한 개 병원에 있는 의료진만으로는 상당히 부족합니다. 그래서 여러 병원들이 같이 연계해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훨씬 더 풍부해집니다.

#7. 또 임상시험을 할 때는 가장 중요한 게 ‘많은 환자 수‘ 이거든요. 그래서 그런 연계를 통해서 환자수를 확보할 수 있는 병원들 사이에 네트워킹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8. 의료 역시 우리나라는 현재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지역의 의료인들이 많이 부족한 그런 상황들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지역의 의료가 붕괴되는 그런 상황까지도 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9. 그래서 권역거점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수도권에 있는 병원들과 같이 경쟁할 수 있는 의료의 수월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지역에 있는 다른 병원들과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0. 권역거점병원으로서 중증환자 위주로 진료를 하고 지역에 있는 다른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은 경증환자 위주로 진료를 볼 수 있게 해서 이런 의료전달체계들을 계속해서 확립해나가는 것이 권역거점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잘 해나갈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11. 데이터를 같이 통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빅데이터를 토합하기 위한 각 병원들의 ICT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그런 것들을 갖추는 데 비용이 필요하고

#12, 각 병원에서 쓰는 의료용어들도 모두 다르거든요. 그런 용어들을 표준화하는 지난한 작업들이 필요합니다.

#13. 긴 시간도 필요하고 많은 인력적인 노력, 비용적인 노력들이 상당히 필요하지만, 그런 것들이 갖춰지고 나면 정말 막강한 힘을 갖게 되는 거죠.

#14. 2012년부터 저희 병원에 오는 모든 환자들의 주소를 경도와 위도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작업을 최근에 마쳤습니다. 대전, 충청지역에 어떠한 질환들이 많고 또 다른 질환들은 어느 지역이 더 많은지 우리가 확일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지게 된 것이죠.

#15. 이를테면 이런 지역에서는 당뇨 환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하면, 그런데 그럼 왜 그럴까. 어떤 다른 환경적인 요인이 있는 것인지 추가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그런 모멘텀이 생기는 것입니다.

#16. 9개 병원의 데이터를 모으면, 지역의 의료특성을 좀 더 정확하게 뽑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7. 거기에 맞춰서 의미 있는 공공의료 정책도 만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8. 충남대병원은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화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중심 병원이 되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

#19. 병원에서 일하시는 교수님들의 20% 정도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창업을 했으면 하는 게 목표입니다.

#20. 의사 뿐 아니라 간호사와 보건직 분들도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참여하셔서 많은 창업이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것이 기본적인 바람입니다.

#21. 중부권에 있는 아홉 개의 병원들이 같이 힘을 합해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화의 중심지역이 중부권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생각입니다.

보기
지난호 보기
많이 본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