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좌담
sns-카카오 공유
sns-페이스북 공유
화면 프린트 실행
링크 공유
폰트 크게 조절
폰트 작게 조절
스마트팩토리(요약)편
KDI 경제정보센터 자료연구팀
2021년 04호
‘제조 산업의 미래, 스마트팩토리’ 라는 주제로, 국내 스마트팩토리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역량, 일자리 및 재교육, 정책 성과 등에 대해 짚어봤다.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공급기업의 ‘특화 산업 등 전문성 확보’, ‘글로벌 선도 플랫폼 연계’ 등의 노력과 함께 수요기업의 ‘인식전환’과 ‘자발적인 수준 향상’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으로 자리잡았다.
♦ 목 차 ♦
1. 정의 및 필요성: 스마트팩토리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2. 주요 현안①: 공급기업의 역량 및 경쟁력
3. 주요 현안②: 수요기업의 역량 및 인식
4. 주요 현안③: 일자리와 재교육
5. 한국의 비전: 스마트팩토리 정책 성과와 제언
1. 정의 및 필요성: 스마트 팩토리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등장한 ‘제조혁신 방안’으로, 생산 자동화를 비롯해 기획·유통·판매 등 전 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의미
•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운영기술(Operation Technology, OT)의 통합이며, ‘연결’ 개념이 중요
• 스마트팩토리는 끊임없이 혁신하는 공장이기에 탄소 중립, 기후 변화, 위드 코로나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공장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음
□ 스마트팩토리 도입은 ‘PQCD(Productivity·Quality·Cost·Delivery) 혁신’을 주도
• 최근 5년간(’14~’18)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7,903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사업 1년 전 대비 평균 생산성 28.5% 증가, 품질 42.5% 향상, 원가 15.5% 절감, 납기 준수율 16.4% 향상, 고용 2.6명 증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1)
• 창원국가산단에서는 2017~2020년간 400여 곳의 기업을 스마트화 했으며, 도입 전보다 매출액 평균 22.3%, 수출액 평균 24.3% 증가, 월평균 고용은 76명에서 78명으로 증가
2. 주요 현안 ①: 공급기업의 역량 및 경쟁력
□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독일의 지멘스(Siemens), 스위스의 에이비비(ABB) 등이 글로벌 공급시장을 선도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의 역량 점검
• 국내 솔루션 기업은 LG CNS, 미라콤아이앤씨, 에임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며, ‘ERP 보급 3만개(’01)’지원 사업을 통해 더존비즈온, 영림원소프트랩 등의 기업이 성장
• 경쟁력이 있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관리시스템) 수출을 위해서는 ‘해외거점’, ‘유지보수 서비스(A/S)’, ‘다국어 구사 가능한 고급 인력’ 등 인프라 준비 필요
□ 국내 공급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특화 산업 등 전문성 확보’, ‘글로벌 선도 플랫폼 연계’ 등이 관건
• (특화 산업 등 전문성 확보) 국내 공급기업은 전(全)산업에 걸친 수요기업의 요구에 따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 SI) 기업’이 대부분, 향후 경쟁력을 위해선 ‘산업·솔루션별 특화된 전문성 확보’가 중요
• (글로벌 선도 플랫폼 연계) 내수 시장이 협소한 우리나라는 글로벌 시장 공략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우리 솔루션을 세계에서 활용도가 높은 플랫폼에서 공급하는 것이 해외 시장 진출 속도를 높일 수 있음
□ 해외 플랫폼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상황 속에서도 국내 플랫폼 산업·기술의 내실을 다지는 것을 놓쳐선 안된다는 의견 공존
• 국내 플랫폼 기업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PaaS(Platform as a Service) 개발 환경 조성 필요
*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컴퓨팅 플랫폼
3. 주요 현안②: 수요기업의 역량 및 인식
□ 스마트팩토리의 성패는 결국 수용하는 주체의 인식과 역량에 달려 있으므로 CEO, 경영진, 관리처 직원의 인식전환과 자발적인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
• 수요기업 내부에서 자체적인 혁신을 거듭하면서 스마트팩토리가 하나의 ‘수단’으로 도출돼야 하지만 대개는 스마트팩토리 도입 자체를 ‘목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
□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 또한 ‘수요기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추세로, ‘사업 지원 제도 개선’, ‘스마트화 사업 추진’ 등 관련 움직임 활발
• (사업 지원 제도 개선) ①수요기업에서 입찰을 통해 공급기업 선정, ②수시모집에서 정시모집(2·4·6월)으로 변경, ③정부 지원금 진도별 지급 등
• (스마트화 사업 추진) ERP, MES 등의 사무용 솔루션보다는 당장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생산현장의 자동화가 우선, 제조 ‘로데이터(Raw Data; 미가공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저장한 후 스마트화하는 사업을 중점으로 추진
4. 주요 현안③: 일자리와 재교육
□ 열악한 작업 환경, 3D(Difficult·Dirty·Dangerous) 업종이라는 오명으로 인해 청년들의 제조업 기피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화를 통해 위험한 공정을 자동화하고, 편의성을 증진한다면 인력을 유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창원국가산단의 경우 전체 종사자 수 약 83,802명 중에서 청년 종사자는 약 8,735명(2018년 말 기준)으로 그 비중은 10.4%(한국산업단지공단, 2020)
• 독일 아카텍(Acatech)의 ‘휴먼 팩토리(Human Factory)’ 개념을 차용하여, 스마트화를 통해 사람이 제조업에서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면 오히려 인력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
□ 자동화를 통해 제조 데이터가 쌓이는 만큼 ‘데이터 수집·분석’ 관련 신규 직종이 창출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준비가 시급
•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등의 학과 신설에도 불구하고 전문 교육자·교재·커리큘럼 등이 부재해 과거의 교육 방식으로 회귀하는 문제 발생
□ 중소·중견 기업의 교육 참가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직원 교육 환경 조성’, ‘교육 이수 인센티브 제공’, ‘우수 인력 유출 피해 지원’ 등 실질적인 방안 마련 필요
• (직원 교육 환경 조성) 중소·중견 기업에서 직원을 교육시킬 수 있도록 재교육에 들어가는 시간·비용적인 부담을 경감하고, 실습, 체험 등을 통해 핵심기술 훈련 방안 마련
• (교육 이수 인센티브 제공) ‘쿠폰’ 제도를 통해 교육량만큼 대출 금리를 감면해 주는 등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참여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우수 인력 유출 피해 지원) 교육을 받은 우수 인력이 유출될 경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e.g., 스포츠계 ‘로열티(Royalty) 제도’ 등) 도입 검토 필요
5. 한국의 비전: 스마트팩토리 정책 성과와 제언
□ 정부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 혁신전략(’18)’, ‘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20)’ 등의 정책 추진을 통해 2020년 스마트공장 보급(누적) 19,799개 달성
• 스마트공장 보급(누적) : (~’19) 12,660→(’20) 19,799 →(’21, 목표) 23,800→(’22, 목표) 30,000
□ 일각에서는 정부 스마트팩토리 사업 대부분이 ‘질적 성장·고도화’보다는 ‘양적 성장·기초 단계’ 지원에 편중돼 있음을 지적
□ 2022년 ‘스마트팩토리 3만개 보급·확산 사업’ 완료 후 정책 추진 방향으로 ‘산업 클러스터(Cluster)* 구축 사업’이 제기
* 앵커(Anchor)기업을 중심으로 가치사슬 안에 속한 기업군들을 묶은 단위체를 의미
• 가치사슬 상에 있는 기업 클러스터(Cluster)를 구성해 동일 수준의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한다면 생산-매출 직접 연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후 산업별 클러스터 모델 수출 가능
• 사업 진행에 앞서 앵커기업과 협업기업 간 관계도, 환경 등에 대한 검토가 선제되어야 함
□ 한편 최근 세계 주요국에서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그에 맞는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관리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자체적인 준비 시급
□ 다만 탄소중립,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은 양면성이 존재한다는 입장도 존재
• 예컨대 디지털화된 설비를 갖추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기업은 선진국에 비해 ESG 평가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준비 여부에 따라 기회 내지는 부담이 될 수 있음
□ 다음 단계로 도약을 위해서는 ‘DX(Digital transformation)’ 화두로의 전환이 필요
• 제조 대기업들은 기존의 물리적인 공장과 별개로 디지털 공장(BMW 디지털 트윈 공장)을 구축하는 추세, 이러한 디지털 공장은 전기에너지, 가스에너지, 순수 물 사용량 등의 지표 추적이 가능하므로 탄소배출권 이슈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
* 이 내용은 전문가 좌담 내용을 재구성한 것으로 KDI의 공식 견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