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지능형 공장, 스마트팩토리!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궁금증을 하나, 하나 꼼꼼하게 풀어봅시다.
#02.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조용주라고 합니다.
#03. 스마트팩토리를 한마디로 정의해 주실 수 있나요?
#04.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전체 과정을 데이터 기반으로 연결하는 지능형 공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05. 제품을 사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해서 제품을 기획하고, 설계하고, 생산하고, 배송하는 물류 과정들이 있거든요.
데이터와 고객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06. 여기서 말하는 모델팩토리는 어떤 건가요?
#07. 모델하우스 같은 개념으로, 우리가 집을 분양하기 전에 한번 가보고 이 집은 어떤 집인지를 검토하지 않습니까?
그런 개념(입니다.)
#08. 새로운 기술, 즉, 사물인터넷이나 클라우드, 인공지능. 5G, 보안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을 실제 현장에 적용시키기 전에 R&D 차원에서 미리 한번 검증해 보고 확인하는 개념이 모델팩토리 또는 테스트베드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09. 모델팩토리의 목적은?
#10. 첫 번째는 기술의 검증, 두 번째는 제조 현장에서 나오는 데이터 수집, 그리고 그 환경을 교육하는 세 가지가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1. 그럼 모델팩토리를 어떻게 활성화할 수 있을까요?
#12. 공급 기업(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테스트베드 ‘모델팩토리’에 와서 생태계를 구성하려면 메리트(merit)를 줘야 하거든요.
#13.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제조업에 적용해 보고 싶어서 모델팩토리에 와서 적용을 했어요. 그러면 적용에 대한 인증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국가적으로 (지원)해 준다면 사실은 훨씬 더 생태계가 활발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14. 그렇다면 기업은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15. 기업들 입장에서는 미래에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6. 첫 번째는 기존 생산라인의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적용에 대해 고민을 하면 좋겠고,
두 번째는 단순히 생산라인의 고도화가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어떻게 잘 만들 수 있을 것인가?’하는 전략적인 부분도 함께 고민하면 새로운 방향으로 대응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17. 스마트팩토리 관련 정부 지원사업은 기초단계에 집중된 편인데요. 고도화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18. 너무 공장 자동화, 물론 과거에 생각한 공장 자동화에 대한 방향은 아니죠. 하지만 너무 지엽적인 개념으로 스마트팩토리를 추진했다. 그렇기 때문에 단계로 보면 1~2단계에 몰려있는 상황일 수 밖에 없고요.
#19. 새롭게 추진해야 할 방향은 한 세 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지금까지 진행했던 사업들을 한 번 살펴보고, 2022년부터 새로운 어떤 정책 로드맵이나 그런 부분들을 수립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0. 두 번째는 산업별로 표준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클러스터형 사업이 될 수 있고, 사업들을 통해서 산업별 업종별 표준 모델을 만들어서 향후에 수출까지 할 수 있는, 제품을 수출하는 게 아니라 모델을 수출하는 형태가 될 것입니다.
#21. 세 번째는 제가 출연연구소에 있다 보니까 전문 연구기관이 없는 게 가장 큰 아쉬움입니다. 독일에서는 스마트팩토리, 인더스터리4.0 관련된 전문 연구기관이 상당히 많이 있거든요. 그런데 저희는 전무한 실정입니다.
#22. 마지막으로 해주실 말씀이 있으신가요?
#23. 정부에서 ‘인력양성’, ‘교육 교재’,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부분들을 정책적으로 만드는 게 어떨까. 국가적으로 스마트팩토리 관련된 특성화학과가 대학원, 대학교, 전문대, 특성화고 많이 만들고는 있는데, 기존의 선생님들이 가르쳤던 교육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부분들이 있거든요.
#24. 지엽적으로 기술적인 내용들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숲을 볼 수 있도록 크게 그림을 그려서 내가 어디로 가야 되는지 등 이런 부분들을 가이드를 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지고,
#25. 그게 되면 선순환 돼서 공급 기업 내지는 도입 기업에 대한 혁신이 일어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